[컴퓨터] USB 포트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하보니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컴퓨터의 USB(범용 직렬 버스) 포트를 비활성화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민감한 데이터의 무단 복사를 방지하므로 업무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 USB 포트를 비활성화하면 네트워크가 바이러스나 기타 악성 코드에 감염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USB 포트를 활성화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르세요. 하지만 해당되는 경우 비활성화 옵션 대신 활성화 옵션을 선택하세요.


BIOS 설정을 통해 USB 포트 비활성화

1.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2. BIOS 설정에 들어가면 온보드 USB 포트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옵션이 있는지 메뉴를 확인하세요.

3. 모든 USB 옵션과 레거시 USB 지원 옵션이 비활성화되거나 꺼져 있는지 확인하세요.

4. 변경 사항을 적용한 후 BIOS를 저장하고 종료하세요. 일반적으로 F10키를 사용하여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5. 컴퓨터를 재부팅한 후 USB 포트가 비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윈도우에서 USB 비활성화

컴퓨터의 BIOS 설정에서 일부 USB 포트만 비활성화하거나 아예 비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아래 단계는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것 입니다. 값을 잘못 변경하면 오류가 발생하거나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을 수 있으니 레지스트리를 백업을 받아 둔 다음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USB 저장 장치가 컴퓨터에 연결되었을 때 자동으로 열리거나 실행되는 기능만 비활성화합니다.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USB 장치는 계속 작동합니다.

1. 윈도우 시작 메뉴에서 검색 상자에 '실행'을 입력 한 뒤 검색된 앱을 실행합니다.

2. 입력 상자에 regedit를 입력하여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엽니다.

3.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다음 폴더를 엽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USBSTOR

4. USBSTOR에서 Start 값을 찾아 "Start"을 두 번 클릭하여 값을 편집합니다. 값 데이터를 "4"로 변경하고 "확인" 을 클릭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으세요.

이제부터 윈도우에서 USB 장치가 감지되어도 더 이상 시작되지 않습니다.

USB 포트를 활성화해야 하는 경우 위 단계를 따르세요. 단, 4단계에서 Start 값을 "3"으로 변경하세요.

주의할 부분은 위 단계는 USB 저장 장치 드라이버가 이미 설치된 경우에만 작동합니다. USB 저장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USB 저장 장치를 연결하고 윈도우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값이 3으로 재설정됩니다.


USB 분리

일반적으로 마더보드에서 USB 포트를 분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컴퓨터 전면이나 상단에 있는 USB 포트는 USB 헤더에서 분리하면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USB 포트를 분리하면 사용자가 컴퓨터 뒷면까지 가지 않고도 USB 장치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유용합니다.

참고로 일부 마더보드에는 USB를 비활성화하는 점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